본문 바로가기

공부/재즈화성학(경음악편곡법)

세광음악출판사 "경음악 편곡법" Part 2 [코드 프로그레션 1] 요약 정리

반응형
세광음악출판사 "경음악 편곡법" Part 2 [코드 프로그레션 1] 요약 정리
* 교재를 한번 읽으셔야 이해가 됩니다.
 
1. 온음계의 코드 Diatonic Scale Chords

 

Key C 기준

CM7 (C6) - ⅠM7 (I6)  [T]

Dm7         - Ⅱm7       [S]

Em7         - Ⅲm7      [T]

Fm7         - ⅣM7      [S]

G7           - V7         [D]

Am7         - Vim7      [T]

Bm7 -5     - Ⅶm7 -5 [D]

 

MmmMNmm-5

TSTSDTD

 

2. 토닉 - 도미넌트 와 도미넌트 모션

 

(1) Tonic - Key 의 기본이 되는 코드, 다음에는 어느 코드로 진행해도 좋음 (T)

(2) Dominant - 토닉으로 진행하려는 성질 (D)

 

D -> T : 도미넌트 모션 (조성 확립)

기호로는 왼쪽 그림처럼 나타냄


3. 5도권 : Key C에서 시작하여 G에서 마치는 도미넌트 모션의 연속

C → F → Bb  → Eb  →  Ab  →  Db  →  Gb (F#)  → B → E → A → D → G

 

4. 도미넌트의 해결

 

Key C에서 도미넌트 G7은 C를 밑음으로 하는 모든 코드로 진행시켜 해결 가능

(C, Cm, CM7, C6, Cm7, Cm6, C7, Cm7 -5( → F7), Cdim->C6)

 

5. 5도진행

 

밑음이 완전5도 하행(완4 상행) 하는 예

II - V 

III - VI

VI - II

VII - III

 

6. 서브도미넌트

 

토닉을 집, 도미넌트를 직장이라고 한다면 서브도미넌트는 극장같은 곳

S로 줄여서 표기, 음악에서 코드 진행은 T, D, S 등 세가지 큰 줄기로 만들어진다.

 

* T, S, D의 연결

 

7. 케이던스 Cadence Kadenz 마침꼴

 

T -> D -> T (C - G7 - C)

T -> S -> T (C - F - C)

T -> S -> D -> T (C - F - G7 - C)

 

토닉은 도미넌트, 서브도미넌트로 모두 진행 가능

서브도미넌트는 토닉, 도미넌트로 모두 진행 가능

도미넌트는 토닉으로 진행 (D -> S는 원칙적으로 예외이나 사용 가능)

 

8. 음계상의 코드의 기능 분류

 

IIm7 [S]

IIIm7 [T]

VIm7 [T]

VIIm7 -5 [D]

 

TSTSDTD

 

9. 동일 기능 안에서의 코드 교환

 

같은 기능 내에서는 코드를 언제나 교환할 수 있다.

 

ex ) CM7  → C6 (T - T) 를

CM7  → Em7 → Am7 (T - T- T) 로 해도 괜찮음

 

10. 세컨더리 도미넌트 세븐스 (Secondary Dominant 7th)

 

ex) Key C에서 CM7 → Dm7 (IM7 - IIm7) 을 CM7 → A7 → Dm7 (IM7 - VI7 - IIm7)

A7을 세컨더리 도미넌트 세븐스라고 한다.

A7 - Dm7 부분만 보면 Key Dm의 도미넌트 모션(V7-Im7)이므로 빌어온 코드라는 뜻의 차용화음이라고도 함

 

I7 , II7 , III7 , VI7 , VII7 - Secondary Dominant 7th

 

11. 투 파이브 (IIm7 - V7)

 

(1) 모든 도미넌트 세븐스는 IIm7 - V7로 분할 가능

(2) IIm7 은 센박 , V7은 여린박에 온다. (1마디씩 코드가 변하는 경우 IIm7은 홀수 마디, V7은 짝수마디에)

( * 4분의 4박자의 세기는 [강 약 중강 약], 센박은 첫째박과 셋째박, 여린박은 둘째박자와 넷째박자)

(3) 투 파이브의 베이스는 5도 하행(4도 상행)을 한다.

 

 기능 분석에서는  └─┘ 로 나타냄

 

ex) Key C에서 G7 → CM7을

                     Dm7 └─┘G7 -> Cm7로 분할 가능

* V7 이외의 도미넌트 세븐스도 투파이브로 분할 가능

VI7 을 IIIm7└─┘VI7

I7   을 Vm7└─┘I7

 

12. 분할하면 IIm7 -5  → V7이 되는 코드

 

VI7, VII7, III7(A7, B7, E7)은 각기 IIm7, IIIm7, VIm7 (Dm7, Em7, Am7)의 마이너 코드로 진행하는데

마이너로 진행하는 도미넌트 세븐스를 투파이브로 분할하면 IIm7 -5  →  V7이 되는 경우가 많다.

 

* 대리 코드

 

13. 도미넌트 세븐스의 대리 코드

 

(1) V7의 대리코드

 a. VIIm7 -5 (Bm7 -5)

 b. ♭II7 (D♭7)

 = 도미넌트 세븐스의 특징은 3도음과 7도음이 만드는 3온음(Tritone)인 점을 기억해야 함

 

(2) 세컨더리 도미넌트 세븐스의 대리 ㅋ코드

증 4도 관계의 도미넌트 세븐스

 

14. 서브도미넌트 마이너와 그 대리코드

 

 (1) 서브도미넌트 마이너

 

Major Key에서 코드를 진행할 때, 같은 밑음을 쓰는 마이너 코드에서 IV를 차용해서 사용하는 코드

기능상으로는 서브도미넌트(S)이고, 토닉으로도 도미넌트로도 진행함

서브도미넌트 안에서의 코드변경으로도 사용

 

(2) 서브도미넌트 마이너의 대리 코드

 

a. IVm6

b. IVm7

c. ♭VI 6

d. ♭VI M7

e. ♭II M7

f.  IIm7 -5

g. ♭VII 7

 

(3) 토닉의 대리 코드

 

a. #IVm7 -5

 

* #IVm7 -5의 다른 사용 방법

= VII7 앞에서 투파이브를 만드는 역할

= V7의 앞에 오면 II7(9)의 밑음 생략형으로 생각되어 II7의 대리코드

= 도미넌트인 V7과 서브도미넌트의 IVM7(혹은 IVm7) 의 경과음으로 사용(결과적으로 IM7의 대리)

 

15. 디미니시드 코드 (Diminished Chord)

 

이 코드의 특징은 도미넌트 세븐에 있었던 트라이톤(3온음)이 두개나  있다는 것.

 

(1) V7dlsk 세컨더리 도미넌트 세븐스의 기능을 지니는 디미니시드 (Passing Diminished 1)

a. # I dim -> IIm7

b. # II dim -> IIIm7

c. # V dim -> VIm7

 

(2) 반음 내려가서 IIm7로 진입하는 디미니시드 (Passing Diminised 2)

 

a. ♭III -> IIm7

 

(3) 반음 올라가서 토닉의 첫째자리바꿈이나 둘째자리바꿈으로 진행하는 디미니시드 (Passing Diminised 3)

 

a. IV6 -> #II dim -> I6 (S와 D 사이의 경과적인 코드)

 

(4)같은 밑음인 IM7로 진행하는 디미니시드 

 

IM7 (I6) 에 대한 장식적인 화음 (I dim -> IM7 or I6)

 

16. 코드 패턴 Chord Pattern

 

(1) 일반 패턴

 

a. I  → VIm7  →  IIm7  → V7

b. I  → #I dim  → IIm7  → V7

c. I  → b III dim  → IIm7  → V7

d. I  → I7 → IV → IVm

 

a, b, c는 순환코드

 

(2) 역순환 코드

 

IIm7  → V7 → IM7 → VIm7(# I dim, b III dim)

 

(3) I → I7 → IV → IVm의 변화

 

a. C - C7 - F - Fm - C(on G) : 기본형

b. C - C7 - F - F#dim - C(on G) :

 

 넷째마디에 '라'가 있어 Fm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디미니시드코드로 대체

 

c. C - Caug - F - Fm - C(on G) :

 

둘째마디에 '시'가 있는경우 C7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C7의 구성음은 도, 미 , 솔, 시 플랫) Caug를 사용하면 솔#에서 라로 나아가는 반음진행이 가능하므로 자연스럽게 F코드로 들어갈 수 있음

C aug의 베이스를 '미'로 하면 Eaug가 된다. Caug, Eaug 둘 다 사용 가능

 

d. C - E7 - F - Fm - C(on G)

 

이것을 정리하면

  

        I 7                     IVm

I  →  I aug  →  IV  →  bVII7

       III aug                #IV dim

       III 7

반응형